인문학 교육 「나의 삶, 나의 인문학」
(가) 추진 배경
▪ 기존의 독서 교육과는 차별화된 인문학 교육을 실현해 보고자 2011년 ‘지혜의 향연 인문 고전 읽기’을 시작으로 2016년부터는 ‘나의 삶, 나의 인문학’으로 개편하여 초청 강연과 현장 체험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책의 의미를 확장하여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함.
▪ 학생들의 관심과 지원이 뜨겁지만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강좌 당 30명을 선발하여 운영하였으며, 이에 참가한 학생들의 만족감이 매우 높음.
▪ 본교의 교사들이 해당 도서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강독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학생들에 대한 관리도 철저하게 이뤄짐.
(나) 운영 내용
단계 | 운영 내용 | 시기 |
---|---|---|
준비 | • 교사들로부터 계획서를 받아 연간 2~4개의 강좌를 개설하여 순차적으로 운영 | 3~4월 |
교육 활동 | • [1단계 학생 생각 나누기] : 모둠을 구성하여 간단한 서평, 가장 인상적인 구절, 이해하기 힘들었던 부분을 말함으로써 의견을 공유. • [2단계 교사 강독 수업] : 도서의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강독 수업을 진행. 논제를 정하고 독서논술문을 작성함. • [3단계 학생 심화 활동] : 전문가 강연 혹은 체험 활동 등을 통해 인문학 내용을 심화, 확장하여 이해. |
5~6월, 11~12월 |
마무리 | • 교육활동에 성실하게 참여한 학생에게 이수증을 수여하고 활동내용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함. | 12월 |
강좌 안내 포트터 |
인문학 체험활동 |
이수증" |
강좌 안내 포트터 |
인문학 체험활동 |
이수증" |
(다) 대상 도서 선정
논어(공자), 맹자(맹자),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 국가(플라톤), 엔트로피(제레미 리프킨), 앵무새 죽이기(하퍼 리), 장미의 이름(움베르토 에코), 당신들의 천국(이청준), 니코마코스 윤리학(아리스토텔레스), Dead poets society( N.H.클라인바움), 서양미술사(에른스트 곰브리치), 정의론(존 롤스) 등
(라) 기대 효과
- 인문학에 대한 관심 확대
- 도서를 읽은 성취감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서 읽기를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함
- 인문학에 대한 저변 확대
- 초청 강연회에 학부모와 관심 있는 학생·교사의 참여로 저변이 확대됨
- 이수증 수여 및 학교생활기록부 활동 내용 기재